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잠시 쉬어가도 괜찮아, 삶을 위로하는 작은 숲 - 리틀 포레스트(Little Forest | リトル・フォレスト 春夏秋冬, 2018)

by 소심한리뷰도사 2025. 5. 5.
반응형

영화 <리틀 포레스트> 포스터

 

안녕하세요! 소심한 리뷰도사 입니다.

오늘 소개해드릴 영화는 <리틀 포레스트> 입니다.

 

  • 제목: 리틀 포레스트(Little Forest | リトル・フォレスト 春夏秋冬, 2018)
  • 주연: 김태리, 류준열, 문소리, 진기주 외
  • 감독: 임순례
  • 상영 시간: 103분
  • 개봉일: 2018년 2월 28일
  • 장르: 힐링, 요리, 드라마

1. 영화 소개

이가라시 다이스케의 만화 <리틀 포레스트>를 리메이크한 한국 영화다. 임순례 감독 연출, 김태리 주연.

 

빠르게 돌아가는 세상 속에서 문득 숨이 막힐 때가 있습니다.
영화 〈리틀 포레스트〉는 그런 우리에게 “잠시 멈춰도 괜찮다”고, 다정하게 말을 건네는 작품입니다.

 

주인공 혜원(김태리 분)은 서울에서 실패와 상처를 겪고,

고향 시골집으로 돌아옵니다.
어린 시절 어머니(문소리 분)와 함께 지낸 작은 집, 낯익은 풍경, 그리고 사계절이 흐르는 들판 속에서 혜원은 천천히 삶을 되돌아보기 시작합니다.

 

혜원은 시골 생활 속에서 직접 요리를 하고, 계절을 따라 수확하고, 오랜 친구 재하(류준열 분)와 은숙(진기주 분)과 다시 만납니다.
그리고 잊고 있었던 소소한 행복과 진짜 자신을 찾아갑니다.

 

〈리틀 포레스트〉는 거창한 사건 없이도, 자연과 음식, 인간 관계 속에서 소박한 위로를 전하는 영화입니다.
사계절의 풍경, 맛깔스러운 음식 장면, 그리고 배우들의 담백한 연기가 영화 전체에 잔잔하고 따뜻한 온기를 불어넣습니다.

 

특히 영화는 “어디에서 살아야 행복할까?”가 아니라, "어떤 삶이 나에게 맞을까?"라는 질문을 조용히 던지며
관객 스스로 답을 찾게 합니다.


2. 줄거리

헉..! 애순이와 금명이..? 배우 문소리의 애순이 연기는 이때가 시작일수도..

 

서울에서 대학을 다니던 혜원(김태리 분)은 여러 번의 실패를 경험하고, 지쳐버린 마음을 안고 어릴 적 살던 시골집으로 돌아옵니다.

 

갑작스럽게 고향에 내려온 혜원은 "잠깐 머물다 가야지"라고 생각했지만, 서울에서 쌓였던 외로움과 상처는 쉽게 사라지지 않았습니다.

 

혜원은 텅 빈 옛집에서 혼자 밥을 해먹고, 계절 따라 달라지는 농작물을 돌보며 조금씩 일상을 회복해 갑니다.
그 과정에서 오랜 친구인 재하(류준열 분)와 은숙(진기주 분)을 다시 만나게 됩니다.

 

재하는 고향을 지키며 농사를 짓는 청년이고, 은숙은 자신만의 꿈을 찾아 이곳저곳을 떠돌던 인물입니다.
각자 다른 길을 선택했지만, 셋은 서로의 삶을 이해하고 응원하며 조심스럽게 마음을 나누기 시작합니다.

혜원은 어릴 적 어머니(문소리 분)와 함께 보냈던 기억을 떠올립니다.

 

계절마다 직접 지은 집밥, 농사를 지으며 웃던 시간, 그리고 어느 날 어머니가 아무 말 없이 집을 떠났던 기억.
혜원은 어머니를 원망하기도 하고, 이해하려고도 하면서 조금씩 과거의 감정들을 정리해 나갑니다.

그러던 어느 날, 혜원은 집에 남겨진 어머니의 편지를 발견합니다.

 

편지 속 어머니는 "나도 살아야겠기에 떠났다"고, "언젠가 너도 네 삶을 찾기를 바란다"고 고백합니다.

혜원은 비로소 깨닫습니다. 자신이 무엇을 위해 떠났고, 무엇을 찾아야 했는지.
그리고 어느 순간, 고향은 더 이상 "도망쳐 온 곳"이 아니라 스스로 선택해 머물고 싶은 삶의 터전이 됩니다.


3. 평가

지친 마음을 부드럽게 어루만지는, 작은 쉼표 같은 영화다

 

〈리틀 포레스트〉는 거대한 사건이나 드라마틱한 반전을 기대하는 관객에게는 조용할 수 있지만, 삶의 본질에 대해 곱씹고 싶은 사람에게는 더없이 깊은 울림을 전하는 영화입니다.

 

혜원이 서울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오는 과정은 단순한 ‘패배’가 아니라, "어디에서도 행복하지 못했던 자신을 구하는 선택"으로 그려집니다.

영화는 혜원이 사계절을 살아가며 조금씩 마음을 회복하고, 세상과 다시 연결되는 과정을
거창한 사건 없이, 섬세한 일상의 조각들로 풀어냅니다.

특히 이 작품은 "정해진 길을 걷지 않아도 괜찮다", "삶을 천천히 살아도 괜찮다"는 메시지를 강요 없이 자연스럽게 전합니다.

 

임순례 감독은 빠른 전개나 강한 감정선을 의도적으로 배제하고, 자연의 리듬에 맞춰 영화 전체를 흘러가게 만듭니다.

계절이 바뀌고, 작물들이 자라고, 음식을 만들어 먹는 장면들은 그 자체로 삶이란 무엇인가를 조용히 말해줍니다.

한 장면 한 장면이 마치 풍경화처럼 차분하고, 음식과 사계절을 통한 치유의 미학을 아름답게 담아냈습니다.

 

김태리는 혜원이라는 인물을 통해 거창한 대사 없이도 내면의 외로움, 분노, 사랑을 섬세하게 표현합니다.

그녀의 연기는 마치 오래 묵은 편지처럼, 처음엔 조용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서서히 마음을 울립니다.

류준열과 진기주 역시 재하와 은숙 역으로 '다른 선택을 한 청춘들'의 모습을 자연스럽게 보여주며, 혜원과 대비되면서도 서로를 이해하는 관계를 따뜻하게 완성합니다.

 

〈리틀 포레스트〉는 “꼭 성공해야만 하는가?”, “도시에 남지 않으면 실패자인가?” 라는 질문을 던집니다.

그리고 대답합니다. "삶에는 정답이 없고, 중요한 건 자신만의 리듬을 찾는 것"이라고.

영화는 관객에게 조용히 손을 내밉니다. 지금 조금 느려도 괜찮다고, 멈추어도 괜찮다고.


총평하자면, 거창하지 않아도 괜찮고, 빠르지 않아도 괜찮다는 따뜻하고 다정한 위로를 건네는 작품입니다.

도시의 속도에 지친 모든 이들에게, 잠시 숨을 고르고 싶은 이들에게, 〈리틀 포레스트〉는 조용하지만 잊을 수 없는 휴식이 되어줄 것입니다.

 

"〈리틀 포레스트〉는 지친 마음을 위해 준비된 작은 쉼표 같은 영화입니다.
사계절을 함께 걷다 보면, 어느새 내 삶도 조금은 부드러워져 있음을 느끼게 됩니다."

반응형